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여성과 태아 모두 보호되어야 … 낙태죄 폐지 반대”

“여성과 태아 모두 보호되어야 … 낙태죄 폐지 반대”

국내 생명보호단체 주최로 4월 18일 수요일 오전 10시 30분, 광화문북측광장에서 “여성과 태아 모두 보호되어야 합니다”라는 주제로 ‘생명보호대회’가 열렸다.



‘생명보호대회’는 낙태법을 폐지하려는 최근의 움직임에 우려하며, 엄마의 모체에서 성장하는 태아는 국가와 개인이 보호해야 할 “생명”임을 강조해왔다. 더불어 여성의 건강과 출산권을 지키기 위해서도 현행법은 유지되어야 한다고 했다. 낙태법은 지금까지 처벌보다는 생명을 소중히 여겨 낙태를 예방하도록 하는 기능을 해왔다는 것이다.

이날 낙태법 유지를 바라는 시민연대는 시민 발언과 공동 기자회견 및 낙태죄 폐지 반대 공동 성명서 발표 했다.

먼저 개회사를 맡은 낙태반대운동연합의 이사 박유경 교수(경희대학교)는 “우리가 지키고자 하는 이 생명권은 성별, 나이, 그 사람의 능력, 크기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되어야 하는 우리의 권리”라며 “오늘 저희가 모인 것은 태아의 생명을 지키고, 모체인 여성의 안전과 권리를 동시에 지키기 위함이며 낙태법으로 우리 국민들을 처벌하기 원해서가 아니”라고 밝혔다.

이어 ‘낙태죄 폐지가 여성을 위한 것인가?’라는 주제로 발언이 이어졌다.

시민 유성원 씨는 “낙태는 여성 자신이 결정할 문제이자, 타인이 간섭 하면 안 된다고, 태아가 사람이란 결론이 날 수 없기 때문에 여성의 선택을 무조건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낙태 시술 영상을 직접 본 날 저의 생각이 바뀌었다. 태아도 여성도 피해자였다”며 “낙태죄가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고, 낙태가 여성의 존엄성을 파괴한다. 또한 낙태죄가 폐지되면 남성으로부터 낙태를 강요 받게 되는 여성들이 늘어날 것이다. 여성은 낙태, 태아는 죽음으로 책임을 지면 사회와 남성의 책임은 어디있나?”라고 반문했다.

미혼모로 아이를 낳은 최수영씨(가명)는 “임신이 라는 건 성폭행에 의한 임신을 제외하고는 모두 타인에 의해서가 아닌, 내 선택으로 발생한 것이고 여자 혼자가 아니라 남녀가 함께 만든 결실”이라며 “내가 살기 위해 살인을 합법화하자는 것은 굉장히 어불성설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선택들은 임신이 되기 전에 해야 하며, 임신하고 난 후엔 그로 인한 책임만 따른다. 물론 남성도 책임 져야 한다”고 했다.

아이를 입양한 부모인 이현경씨는 “아이를 낳아준 생모가 생명을 지켜주지 않았다면”하는 아찔함이 밀려왔다며 “아무리 생각해도 이 소중한 생명의 시작은 수정된 순간이라고 밖에 설명할 방법이 없다. 여러분은 수정된 그 순간부터 지금까지 소중하고, 하나밖에 없는 생명”이라고 외쳤다.
임산부 박선영씨는 “전 세상에서 이야기하는 준비되지 못한 임신을 했다. 어떤 사람은 ‘뱃속의 태아는 사람이 아니’라고, ‘준비가 되고 임신하라’고 했지만, 우리 부부에게 이 아이는 생명이고 사람이고 소중한 자식이었다”며 “태동이 느껴지기 전엔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만 심장이 뛰는 것을 보기도하고, 어느정도 자랐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느껴지지 않는다고, 작다고, 아직 사람의 형체가 아니라고 이 존재를 사람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고 했다.

또 “이 생명을 어느 선까지 내가 침범할 수 있고 조절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봤다. 성별부터 혈액형, 눈, 코, 입 신체의 각 부위 모양과 성격까지 제가 정할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며 “태아는 제 몸에서 자라고 있지만 제 뜻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수정된 순간부터 저와는 완전히 별개의 독립된 인간”이었다고 전했다.

주부 권광희씨는 두 아이를 키우면서 “자녀는 부모의 도움 없이 살 수 없지만 부모의 소유물이 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우리가 요구 해야할 것은 낙태법 폐지가 아닌 임신과 출산 지원, 자녀 양육 부담을 줄이는 사회적 구조 마련, 미혼모 지원, 책임 없는 남성 구상권 청구 등의 제도적 장치”라고 했다.
‘성 가치’에 대해 교육하는 박경희강사는 “아이들이 성에 대한 정보를 대중매체와 음란물, 친구를 통해서만 얻다 보니 성에 대한 책임이나 생명의 소중함보다 쾌락, 즐기는 놀이 문화로 성을 먼저 접한다”며 “수정된 순간부터 인간임을 이야기하고, 태아는 독립된 생명체임을 이야기해야 한다. 피임 또한 100%안전하지 않다. 성관계와 임신은 불가분의 관계”라고 했다.

이어 “성의 본질이 생명인 것을 가치관으로 아는 아이들은 쉽게 성관계를 시작하지 않는다. 생명의 무게를 알기 때문이다. 또한 생명존중 가치관은 타인에 대한 존중, 사랑, 배려, 책임, 안내 모든 것이 동반된다”며 “생명존중 가치관은 아이들의 미래를 좌우하는 반드시 지켜야할 가치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에 더 귀 기울여 달라”고 간청했다.

임신 당시 높은 장애 확률에도 아이를 출산했던 함수연씨는 “미국 장애인 정책이 출산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며 “모든 여성은 행복한 임신과 출산 양육을 소망한다. 국가, 지역 사회가 제도적으로 임신, 출산, 양육을 적극 지원하면 낙태보다 출산을 선택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생명보호대회는 낙태반대운동연합과 프로라이프교수회, 생명운동연합, 성산생명윤리연구소,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가 공동 주최하며, 프로라이프여성회와 프로라이프의사회 등이 함께 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낙태반대운동연합, 낙태죄 폐지 반대 시위

낙태반대운동연합, 낙태죄 폐지 반대 시위  헌법재판소가 오는 24일 낙태죄 위헌 소원에 대한 공개변론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낙태반대운동연합이 17일부터 헌법재판소 앞에서 낙태죄 폐지 반대 1인 시위에 들어갔다. 낙태반대운동연합은 "여성인권과 태아 인권을 모두 보호하기위해서는 낙태죄 유지가 필수적"이라며, "현행 낙태법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도록 해 낙태를 예방하는 기능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낙태죄 폐지 반대 1인시위는 17일과 18일, 23일과 24일에 진행되며, 낙태반대운동연합 회원들이 릴레이 시위를 벌인다.   한편, 낙태법 유지를 바라는 시민연대에는 낙태반대운동연합을 비롯해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성산생명윤리연구소 등 7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출처 :  http://www.nocutnews.co.kr/news/4971601#csidx9a057a3f4de5b488da6026763d55311  헌법재판소가 오는 24일 낙태죄 위헌 소원에 대한 공개변론을 진행할 예정인 가운데 낙태반대운동연합이 오늘(어제)부터 헌법재판소 앞에서 낙태죄 폐지 반대 1인 시위에 들어갔습니다. 낙태반대운동연합은 여성인권과 태아 인권을 모두 보호하기위해서는 낙태죄 유지가 필수적이라며, 현행 낙태법은 생명을 소중히 여기도록 해 낙태를 예방하는 기능을 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낙태죄 폐지 반대 1인시위는 오늘과 내일, 23일과 24일에 진행되며 (오늘과 23일, 24일에 진행되며) 낙태반대운동연합 회원들이 릴레이 시위를 벌입니다. x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미국에서 낙태 반대 운동 연설가로 활약 중인 브라이언 켐퍼(Bryan Kemper)가 뉴질랜드의 기독교인들에게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낙태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 켐퍼는 보이스포라이프(Voice for Life) 주최로 지난 5월 3일부터 9일까지 뉴질랜드 실버데일(Silverdale)에서 열린 2018 사회정의 순회강연(2018 Social Justice Tour)에서 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미국에서 사제들의 낙태 반대운동 'Priests for Life'의 청소년 사역 디렉터로 활동 중이며, 'Social Justice Begins in the Womb(사회 정의는 자궁에서부터 시작된다)'라는 저서를 쓰기도 했다. "우리는 낙태 반대 운동을 계속할 싸움이 아니라 반드시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싸워야 합니다. 그리고 끝을 볼 것이라고 여겨야 합니다." 지난 5월 4일 강연에서 그는 이같이 말했다. 켐퍼는 아버지가 자신을 임신한 어머니를 데리고 낙태 수술을 하러 갔지만 다행히 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해 태어나게 되었다는 개인적인 사연을 밝혔다. "저는 낙태 시술을 하는 곳을 병원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병원은 사람을 치료하는 곳이지 죽이는 곳이 아니지요." 그는 증조모의 강요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아버지가 자신을 카톨릭 신자로 세례를 받게 했다고 말했다. 이혼한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를 오가며 자란 그는 아버지에 의해 마약을 알게 되었다. 그는 마약 과다 복용까지 경험했지만 하나님이 그를 사랑하신다는 한 목사님의 이야기를 듣고 예수님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낙태 반대 운동 연설을 하라는 부르심을 받고 현재 강연에 나서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낙태는 그저...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지난 해 9월 정부가 불법 낙태 시술 의료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하면서 낙태 합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낙태 합법화를 반대하는 교계 및 생명윤리단체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비웨이브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내 자궁은 내 것이다" "자궁까지 검열하냐"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인구정책 수단으로 여성신체 이용말라" 임신 중단 합법화를 요구하는 여성 모임 '비웨이브'(BWAVE)가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 역 인근 걷고싶은거리에서 연방 구호를 외쳤다  시위 관계자는 "현행법으로 낙태를 하지 못해 고통 당하는 많은 여성들이 있다"며 낙태 전면 합법화를 주장했다.  여성들은 비옷을 입고 형법 제 269조 1항과 2항, 제270조 1항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형법 제269조 1항과 2항은 약물 등의 방법으로 낙태한 여성이나 낙태하게 한 자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같은 법 제270조 1항은 낙태 시술을 한 의료인을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복지부 개정안 낙태 의사 자격정지 1개월▶최대 12개월로…여성단체 반발 낙태 찬반 논란에 기름을 부은 것은 보건복지부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 9월23일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의 구체적인 유형을 정하고,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의료관계 행정처분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보건복지부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에 △대리수술 △진료 중 성범죄 △허가받지 않은 주사제 사용 등과 함께 ‘임신중절수술’을 포함시켜 논란을 일으켰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공임신중절 수술을 한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