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조선일보] 천주교 찾아 고개 숙인 조국 수석…"교황 '낙태 발언' 인용, 실수였다"

[조선일보] 천주교 찾아 고개 숙인 조국 수석…"교황 '낙태 발언' 인용, 실수였다"


파문 사흘만에 박수현 靑 대변인과 담당 주교 예방해 사실상 사과
靑 "생명 존중 입장 겸허히 청취…교황 말씀 전달상 실수 말씀드려"


문재인 대통령이 조국 민정수석의 '낙태 관련 교황 발언' 인용 파문으로 갈등을 빚은 천주교 주교회의 측에 29일 논란의 당사자인 조 수석과 박수현 대변인 등 핵심 참모진을 보내 이해를 구하며 진화에 나섰다.

청와대 가톨릭 신자 모임 '청가회' 회장인 박 대변인과 조 수석 등은 이날 오후 경기도 수원지 장안구 소재 천주교 수원 교구를 찾아 주교회의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인 이용훈 주교를 예방, 환담했다.

이는 전날 문 대통령이 주교회의 측이 당정의 낙태죄 손질 움직임 등에 반발, 낙태 반대 100만 서명 운동에 돌입하는 등 반발이 거세지자 "오해 없게 설명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환담은 비교적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생명 존중이라는 천주교회의 입장을 겸허하게 청취했다"며 "청와대(조국 수석)의 청원 답변 내용 중 교황님의 말씀(인용)은 '아이리쉬 타임즈' 기사를 압축하는 과정에 실수가 있었음을 말씀드렸다"고 했다.

사실상 조 수석의 교황 발언 인용에 대해 사과한 셈이다.

앞서 조 수석은 여성계 등의 낙태죄 폐지 청원에 대해 "현행 낙태죄에선 국가와 남성의 책임이 빠져 있다"면서 임신 중절 실태 조사를 거쳐 법제 손질에 나설 것을 시사하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수년 전 "우리는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고 언급한 부분을 인용해 낙태에 가장 보수적인 천주교 측도 입장 변화가 있는 것처럼 해석했다. 주교회의 측은 인용된 교황 발언의 맥락이 왜곡됐다며 크게 반발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29/2017112902565.htm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미국에서 낙태 반대 운동 연설가로 활약 중인 브라이언 켐퍼(Bryan Kemper)가 뉴질랜드의 기독교인들에게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낙태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 켐퍼는 보이스포라이프(Voice for Life) 주최로 지난 5월 3일부터 9일까지 뉴질랜드 실버데일(Silverdale)에서 열린 2018 사회정의 순회강연(2018 Social Justice Tour)에서 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미국에서 사제들의 낙태 반대운동 'Priests for Life'의 청소년 사역 디렉터로 활동 중이며, 'Social Justice Begins in the Womb(사회 정의는 자궁에서부터 시작된다)'라는 저서를 쓰기도 했다. "우리는 낙태 반대 운동을 계속할 싸움이 아니라 반드시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싸워야 합니다. 그리고 끝을 볼 것이라고 여겨야 합니다." 지난 5월 4일 강연에서 그는 이같이 말했다. 켐퍼는 아버지가 자신을 임신한 어머니를 데리고 낙태 수술을 하러 갔지만 다행히 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해 태어나게 되었다는 개인적인 사연을 밝혔다. "저는 낙태 시술을 하는 곳을 병원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병원은 사람을 치료하는 곳이지 죽이는 곳이 아니지요." 그는 증조모의 강요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아버지가 자신을 카톨릭 신자로 세례를 받게 했다고 말했다. 이혼한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를 오가며 자란 그는 아버지에 의해 마약을 알게 되었다. 그는 마약 과다 복용까지 경험했지만 하나님이 그를 사랑하신다는 한 목사님의 이야기를 듣고 예수님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낙태 반대 운동 연설을 하라는 부르심을 받고 현재 강연에 나서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낙태는 그저...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지난 해 9월 정부가 불법 낙태 시술 의료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하면서 낙태 합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낙태 합법화를 반대하는 교계 및 생명윤리단체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비웨이브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내 자궁은 내 것이다" "자궁까지 검열하냐"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인구정책 수단으로 여성신체 이용말라" 임신 중단 합법화를 요구하는 여성 모임 '비웨이브'(BWAVE)가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 역 인근 걷고싶은거리에서 연방 구호를 외쳤다  시위 관계자는 "현행법으로 낙태를 하지 못해 고통 당하는 많은 여성들이 있다"며 낙태 전면 합법화를 주장했다.  여성들은 비옷을 입고 형법 제 269조 1항과 2항, 제270조 1항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형법 제269조 1항과 2항은 약물 등의 방법으로 낙태한 여성이나 낙태하게 한 자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같은 법 제270조 1항은 낙태 시술을 한 의료인을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복지부 개정안 낙태 의사 자격정지 1개월▶최대 12개월로…여성단체 반발 낙태 찬반 논란에 기름을 부은 것은 보건복지부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 9월23일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의 구체적인 유형을 정하고,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의료관계 행정처분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보건복지부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에 △대리수술 △진료 중 성범죄 △허가받지 않은 주사제 사용 등과 함께 ‘임신중절수술’을 포함시켜 논란을 일으켰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공임신중절 수술을 한 의...

[국가송무과] 낙태죄 위헌소송 관련 법무부 입장

낙태죄 위헌소송 관련 법무부 입장 ○ 태아의 생명권 보호는 국가의 책무이고,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함 ○ 낙태죄에 대한 법무부의 입장은 낙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형법규정 자체는 합헌이고, 임부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면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낙태의 허용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하지만, 그러한 제도개선의 필요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현행 형법 규정이 위헌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는 것임 <첨부참조> http://www.moj.go.kr/HP/COM/bbs_01/Download.do?FileDir=/attach/moj/f2018/&UserFileName=1805243.pdf&SystemFileName=20180524315836_1_180524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