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낙태는 분명한 살인행위” 한국교회언론회, 낙태죄 폐지 논란 관련 논평 발표

“낙태는 분명한 살인행위”
한국교회언론회, 낙태죄 폐지 논란 관련 논평 발표

이미지출처 : https://pixabay.com/en/baby-snow-abortion-life-light-1915402/

한국교회언론회는 낙태죄 폐지 논란과 관련 낙태는 분명 살인행위라는 논평을 발표했다.

언론회는 논평에서 태는 분명 불법이며또한 살인이라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며 현재 낙태 실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지난 2010년을 기준으로 볼 때약 16만 9,000건의 낙태 수술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 밝혔다.

이어 단일 사건으로 해마다 이렇게 많은 생명을 잃는 경우는 드물 것이라며 따라서 모자보건법에서 인정하는 것 외에낙태는 불법으로 규정하는 것이 맞고이는 살인이라는 인식도 가져야 한다. “고 말했다.

다음은 논평 전문.

낙태(落胎)는 분명 살인행위이다
정부는 오히려 낙태가 불법임을 적극 가르쳐야 한다

최근에 청와대가 청와대 홈페이지를 통하여소위 낙태죄 폐지 청원’(낙태죄 폐지와 자연유산 유도약 합법화)으로 제기된 것에 대한 답변을 내놓았다답변으로는내년도에 낙태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겠다는 것과헌법재판소와 국회에 기대를 한다는 입장도 밝혔다그러면서 이를 발표한 민정수석은 낙태는 불법성이 있으므로, ‘임신중절로 용어를 바꾸겠다고 하였다.

헌법재판소는 지난 2012년 재판관 4대 4로 낙태죄가 합헌임을 유지한 바 있는데현재는 새롭게 바뀌는 재판관들이 진보’ 성향을 띠고 있어이에 대한 기대와 정치권에서의 도움을 바란다는 의미로 보인다.

이를 발표한 조국 민정수석은 2013년 낙태 비범죄화론을 주장하는 논문을 쓴 적이 있고국가인권 위원을 거치기도 한 사람이다또 이진성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는 최근 인사청문회에서 태아의 선별적 살인을 허용 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하였다.

현행 낙태는형법 제269조와 제270조에서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1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되어 있고낙태 수술을 한 의료인은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무조건 낙태가 불법으로 규정된 것은 아니다예외 조항이 있는데, “모자보건법에 따르면유전적 정신장애신체질환전염성 질환강간친족성폭행산모 건강 우려 등으로 임신한 경우는낙태를 인정하고 있다.

낙태 문제는 그 동안,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놓고 논란을 벌여 왔다낙태 불법 폐지를 주장하는 입장에서는여성의 자기 몸에 대한 결정권을 달라는 것이고종교계와 이를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임신한 순간부터 생명이기 때문에낙태를 할 경우살인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얼른 보기에는 인권’ 대 생명윤리로 보이지만사실은 무분별한 성 개방과 죄의식이 약화된 가운데생명에 대한 무책임과 살인에 준하는 비윤리의 모습이 드러나고 있는 슬픈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낙태는 분명 불법이며또한 살인이라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현재 낙태 실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지난 2010년을 기준으로 볼 때약 16만 9,000건의 낙태 수술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단일 사건으로 해마다 이렇게 많은 생명을 잃는 경우는 드물 것이다따라서 모자보건법에서 인정하는 것 외에낙태는 불법으로 규정하는 것이 맞고이는 살인이라는 인식도 가져야 한다.

그래서 2012년 헌법재판소가 판결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자기 결정권이 침해될 수 있지만태아의 생명권이 여성의 자기 결정권보다 앞선다는 판결은 유지되는 것이 옳다고 본다만약 낙태죄를 폐지하게 된다면무분별한 생명경시 현상과 성문화의 문란과 윤리의식의 급격한 추락은불을 보듯 뻔하다.

정부와 청와대에서도 기왕 국민들의 의견을 들었다면낙태죄를 폐지하는 것보다이를 반대하는 국민들의 인식이 높음을 감안하여국민들과 특히 청소년청년들에게 집중적인 홍보와 교육을 통해낙태가 불법이며생명을 존중해야 함을 적극적으로 가르치는데 앞장서야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미국에서 낙태 반대 운동 연설가로 활약 중인 브라이언 켐퍼(Bryan Kemper)가 뉴질랜드의 기독교인들에게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낙태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 켐퍼는 보이스포라이프(Voice for Life) 주최로 지난 5월 3일부터 9일까지 뉴질랜드 실버데일(Silverdale)에서 열린 2018 사회정의 순회강연(2018 Social Justice Tour)에서 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미국에서 사제들의 낙태 반대운동 'Priests for Life'의 청소년 사역 디렉터로 활동 중이며, 'Social Justice Begins in the Womb(사회 정의는 자궁에서부터 시작된다)'라는 저서를 쓰기도 했다. "우리는 낙태 반대 운동을 계속할 싸움이 아니라 반드시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싸워야 합니다. 그리고 끝을 볼 것이라고 여겨야 합니다." 지난 5월 4일 강연에서 그는 이같이 말했다. 켐퍼는 아버지가 자신을 임신한 어머니를 데리고 낙태 수술을 하러 갔지만 다행히 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해 태어나게 되었다는 개인적인 사연을 밝혔다. "저는 낙태 시술을 하는 곳을 병원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병원은 사람을 치료하는 곳이지 죽이는 곳이 아니지요." 그는 증조모의 강요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아버지가 자신을 카톨릭 신자로 세례를 받게 했다고 말했다. 이혼한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를 오가며 자란 그는 아버지에 의해 마약을 알게 되었다. 그는 마약 과다 복용까지 경험했지만 하나님이 그를 사랑하신다는 한 목사님의 이야기를 듣고 예수님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낙태 반대 운동 연설을 하라는 부르심을 받고 현재 강연에 나서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낙태는 그저...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지난 해 9월 정부가 불법 낙태 시술 의료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하면서 낙태 합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낙태 합법화를 반대하는 교계 및 생명윤리단체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비웨이브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내 자궁은 내 것이다" "자궁까지 검열하냐"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인구정책 수단으로 여성신체 이용말라" 임신 중단 합법화를 요구하는 여성 모임 '비웨이브'(BWAVE)가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 역 인근 걷고싶은거리에서 연방 구호를 외쳤다  시위 관계자는 "현행법으로 낙태를 하지 못해 고통 당하는 많은 여성들이 있다"며 낙태 전면 합법화를 주장했다.  여성들은 비옷을 입고 형법 제 269조 1항과 2항, 제270조 1항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형법 제269조 1항과 2항은 약물 등의 방법으로 낙태한 여성이나 낙태하게 한 자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같은 법 제270조 1항은 낙태 시술을 한 의료인을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복지부 개정안 낙태 의사 자격정지 1개월▶최대 12개월로…여성단체 반발 낙태 찬반 논란에 기름을 부은 것은 보건복지부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 9월23일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의 구체적인 유형을 정하고,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의료관계 행정처분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보건복지부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에 △대리수술 △진료 중 성범죄 △허가받지 않은 주사제 사용 등과 함께 ‘임신중절수술’을 포함시켜 논란을 일으켰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공임신중절 수술을 한 의...

[국가송무과] 낙태죄 위헌소송 관련 법무부 입장

낙태죄 위헌소송 관련 법무부 입장 ○ 태아의 생명권 보호는 국가의 책무이고,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함 ○ 낙태죄에 대한 법무부의 입장은 낙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형법규정 자체는 합헌이고, 임부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면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낙태의 허용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하지만, 그러한 제도개선의 필요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현행 형법 규정이 위헌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는 것임 <첨부참조> http://www.moj.go.kr/HP/COM/bbs_01/Download.do?FileDir=/attach/moj/f2018/&UserFileName=1805243.pdf&SystemFileName=20180524315836_1_180524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