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동성애 낙태 반대하는 美기독인, 살해 협박 시달려

동성애 낙태 반대하는 美기독인, 살해 협박 시달려
노골적인 폭언과 협박 등 차별적 언행과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어


최근 탈동성애 사실을 밝히거나 낙태를 반대하는 등 전통적인 기독교적 가치관에 따른 삶을 선언하거나 공표한 기독교인들이 인터넷 소셜미디어나 이메일 등을 통해 살해 협박을 받고 있다.



2017년 자신의 탈동성애 과정을 페이스북 영상을 통해 공개한 에밀리 토메자라는 여성 기독교인은 “언론으로부터 고소를 당하고 생명의 위협까지 받고 있다.”고 미국 크리스천포스트가 최근 밝혔다.

또 영상을 공개한 미디어 사역단체 ‘앵커드 노스(Anchored North)’는 한 페이스북 사용자로부터 “가서 당신들을 한 명씩 죽이고 싶다. 또 당신들 가족들을 서서히 고통스럽게 죽이고 싶다.”는 협박 메일을 받기도 했다.

에밀리 토메즈의 영상은 지난 12월 후반부터 지금까지 약 210만 번 조회됐다.

앵커드 노스의 그레그 수커트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디어를 통한 전도는 잃어버린 영혼들에게 복음을 전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살해 협박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포스트지는 또 기독교인 블로거이자 홈스쿨링 교사인 엘리자베스 존스턴도 페이스북 상에서 한 단체로부터 ‘산 채로 불태우겠다’는 협박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녀는 결혼이 한 남성과 한 여성 간의 결합이라는 전통적인 결혼관을 지지하고 낙태와 동성애를 반대하고 있다.

존스턴은 이같은 사실을 페이스북 측에 신고했으나 페이스북 측은 “문제의 단체는 풍자적인 성격을 지녔지만 페이스북의 기준을 위반하지 않았다.”고 답해왔다며 “자신은 페이스북의 이같은 반응을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밝혔다.

이처럼 동성애나 낙태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에 대한 차별 금지를 주장하지만, 정작 자신들의 생각과 다른 기독교적 가치에 따른 삶을 선택한 사람들에 대해 노골적인 폭언과 협박 등 차별적 언행과 행위를 서슴지 않고 있다(출처: 복음기도신문).

기록된 바 우리가 종일 주를 위하여 죽임을 당하게 되며 도살 당할 양 같이 여김을 받았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그러나 이 모든 일에 우리를 사랑하시는 이로 말미암아 우리가 넉넉히 이기느니라(로마서 8:36-37)

그들의 총명이 어두워지고 그들 가운데 있는 무지함과 그들의 마음이 굳어짐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생명에서 떠나 있도다 그들이 감각 없는 자가 되어 자신을 방탕에 방임하여 모든 더러운 것을 욕심으로 행하되 오직 너희는 그리스도를 그같이 배우지 아니하였느니라(에베소서 4:18-20)

하나님, 자신의 정욕을 위해 살던 삶을 끝내고, 복음과 함께 고난받는 증인의 소식을 들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많은 위협 앞에서도 생명의 주권이 주께 있음을 믿사오니 어떠한 고난이 따를지라도 십자가의 사랑으로 넉넉히 이기게 하여 주십시오. 또한 동성애를 주장하는 것을 넘어 협박과 죽음으로 내어 몰게 하는 이들의 심령을 불쌍히 여겨주십시오. 십자가 복음으로 그들의 무지함과 굳어진 마음을 제하여 주옵소서. 그리하여 하나님의 생명을 만나게 하시고 또 다른 증인으로 세워지길 간구합니다. 이 일에 있어 통로로 쓰임받는 단체들을 축복하여 주시고, 미디어를 통하여 거짓을 무너뜨리실 주님을 기대합니다.


출처 : http://www.prayer24365.org/prayer_room/epi_view.php?no=21802&category=1&page=5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뉴질랜드 기독교인들이여, 낙태에 맞서 싸워라!” 미국 낙태반대 운동가 켐퍼 실버데일에서 강연 미국에서 낙태 반대 운동 연설가로 활약 중인 브라이언 켐퍼(Bryan Kemper)가 뉴질랜드의 기독교인들에게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낙태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 켐퍼는 보이스포라이프(Voice for Life) 주최로 지난 5월 3일부터 9일까지 뉴질랜드 실버데일(Silverdale)에서 열린 2018 사회정의 순회강연(2018 Social Justice Tour)에서 연설자로 나섰다. 그는 미국에서 사제들의 낙태 반대운동 'Priests for Life'의 청소년 사역 디렉터로 활동 중이며, 'Social Justice Begins in the Womb(사회 정의는 자궁에서부터 시작된다)'라는 저서를 쓰기도 했다. "우리는 낙태 반대 운동을 계속할 싸움이 아니라 반드시 이길 싸움으로 여기고 싸워야 합니다. 그리고 끝을 볼 것이라고 여겨야 합니다." 지난 5월 4일 강연에서 그는 이같이 말했다. 켐퍼는 아버지가 자신을 임신한 어머니를 데리고 낙태 수술을 하러 갔지만 다행히 병원에서 수술을 거부당해 태어나게 되었다는 개인적인 사연을 밝혔다. "저는 낙태 시술을 하는 곳을 병원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병원은 사람을 치료하는 곳이지 죽이는 곳이 아니지요." 그는 증조모의 강요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아버지가 자신을 카톨릭 신자로 세례를 받게 했다고 말했다. 이혼한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를 오가며 자란 그는 아버지에 의해 마약을 알게 되었다. 그는 마약 과다 복용까지 경험했지만 하나님이 그를 사랑하신다는 한 목사님의 이야기를 듣고 예수님을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낙태 반대 운동 연설을 하라는 부르심을 받고 현재 강연에 나서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 낙태는 그저...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국민일보] 낙태 찬반 논란 "내 자궁은 내 것" vs "생명은 소중한 선물" 지난 해 9월 정부가 불법 낙태 시술 의료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하면서 낙태 합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낙태 합법화를 반대하는 교계 및 생명윤리단체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비웨이브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내 자궁은 내 것이다" "자궁까지 검열하냐"  "여성은 아기공장이 아니다" "인구정책 수단으로 여성신체 이용말라" 임신 중단 합법화를 요구하는 여성 모임 '비웨이브'(BWAVE)가 25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 역 인근 걷고싶은거리에서 연방 구호를 외쳤다  시위 관계자는 "현행법으로 낙태를 하지 못해 고통 당하는 많은 여성들이 있다"며 낙태 전면 합법화를 주장했다.  여성들은 비옷을 입고 형법 제 269조 1항과 2항, 제270조 1항을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형법 제269조 1항과 2항은 약물 등의 방법으로 낙태한 여성이나 낙태하게 한 자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같은 법 제270조 1항은 낙태 시술을 한 의료인을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복지부 개정안 낙태 의사 자격정지 1개월▶최대 12개월로…여성단체 반발 낙태 찬반 논란에 기름을 부은 것은 보건복지부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 9월23일 환자 안전을 위협하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의 구체적인 유형을 정하고,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의료관계 행정처분규칙’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보건복지부는 비도덕적 진료행위에 △대리수술 △진료 중 성범죄 △허가받지 않은 주사제 사용 등과 함께 ‘임신중절수술’을 포함시켜 논란을 일으켰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공임신중절 수술을 한 의...

[국가송무과] 낙태죄 위헌소송 관련 법무부 입장

낙태죄 위헌소송 관련 법무부 입장 ○ 태아의 생명권 보호는 국가의 책무이고,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고 생각함 ○ 낙태죄에 대한 법무부의 입장은 낙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형법규정 자체는 합헌이고, 임부의 자기결정권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면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낙태의 허용범위를 확대해 나가야 하지만, 그러한 제도개선의 필요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현행 형법 규정이 위헌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는 것임 <첨부참조> http://www.moj.go.kr/HP/COM/bbs_01/Download.do?FileDir=/attach/moj/f2018/&UserFileName=1805243.pdf&SystemFileName=20180524315836_1_1805243.pdf